2025년 7월 11일 금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에어컨 전기료 아끼는 법 → 구형과 신형이 다르다. 2011년 이전 만든 ‘(구형)정속형'은 목표 온도에 도달한 뒤 2시간마다 껐다 켰다 반복, (신형)인버트형)은 껐다 켰다하는 것보다 냉방 희망 온도를 고정한 뒤 연속 운전하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세계)
2. 주말 폭염 절정, 당분간 폭염 계속 → 기상청, 다음 주 중반쯤 북쪽 찬 공기 남하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 그동안 30도 내외로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았던 동해안 지역도 바람이 동풍에서 서풍으로 바뀌며 기온 올라 갈 듯.
3. 한국은 최고 ‘제조업 강국’? → 주요 20개국(G20) 중 GDP대비 ‘상품’ 수출 의존도 가장 높아. 중국(17.9%)·일본(17.0%)은 물론 전통의 제조업 강국 독일(33.3%)보다도 높아. 수출구조를 상품 중심에서 서비스 및 해외투자로 다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아시아경제)
4. 사상 첫 시총 4조달러 전인미답의 영광, 엔비디아 → 10일 전날보다 2.5% 오른 164.42달러까지 상승하며 시총 4조100억 달러(약 5512조 원) 기록. 이는 한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의 1.8배에 달하는 액수. 2018년 보다 48배 상승. 올들어 20% 상승.(한경 외)

5. 모기의 먹이는 피가 아니다 → 꽃의 꿀이나 나무의 수액, 이슬 등을 먹고 산다. 피를 빠는 모기는 알의 성숙에 필수적인 단백질과 철분을 노리는 알을 뺀 암컷 모기이다.(문화)
6. K 뷰티 숨은 강자, ‘올리브 영’ → 수낙 전 영국 총리가 지난 5월 방한 당시 ‘한국에 온다고 하니 10대 딸들이 올리브영에 꼭 들러야 한다며 화장품 구매 목록을 적어줬다’고 할 정도로 ‘올리브 영’은 K뷰티 순례지가 되었다. 이런 열기에 지난해 매출은 4조 8000억원으로 한 해동안 23%가 늘었디.(아시아경제)
7.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또 경신 → 미세먼지 걱정은 사치... 정부, 원전은 물론 석탄발전도 총가동... 최대전력 수요는 지난 8일 95.7GW까지 올라 역대 2위이자 역대 7월 중 최고치를 찍었고, 이후에도 연일 90GW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 중.(헤럴드경제)
8. 주 4일제 하니, 매출 늘고 직원 병가 줄고... → 영국 시민단체 ‘주 4일제 재단’, 지난해 11월~올4월까지 6개월간 17개 기업 1000여명을 대상으로 주4일제 실험. 매출을 공개한 4곳 중 3곳이 증가. 4곳 모두 병가와 개인 휴가 일수 감소. 일각에선 일반화 어렵다 반론.(세계)
9. ‘세레나데’(Serenade) → 프랑스어로 이탈리아어 ‘세라’(Sera·저녁)에서 유래된 말이다. 우리말로는 ‘저녁의 음악’ 정도로 해석되는데 늦은 저녁 사랑하는 이의 집 창가 앞에서 사랑을 고백하는 연주나 노래를 뜻한다.(문화)
10. 익숙치(X), 익숙지(O) → -하지 않다의 줄임은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ㄴ/ㄹ/ㅁ/ㅇ로 끝나면 -ㅊ로 예)예상치, 충분치... ▶ㄱ/ㄷ/ㅂ/ㅅ으로 끝나면 -지로 쓰면 맞다. 예)넉넉지, 떳떳지...
*신통알 팁 : “나라말외=침”(ㄴㄹㅁㅇ=침(ㅊ), “고두밥수=저(ㄱㄷㅂㅅ=저(ㅈ)로 기억하면 쉽다.
이상입니다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7/14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8) | 2025.07.14 |
---|---|
2025년 7월 1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4) | 2025.07.14 |
25/07/11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6) | 2025.07.11 |
25/07/10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9) | 2025.07.10 |
2025년 7월 1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