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吠形吠聲’(폐형폐성, 吠 짖을 폐) → 개 한 마리가 모양을 보고 짖으면 백마리는 그 소리만 듣고 따라 짖는다는 뜻으로 본질보다는 여론에 따라 움직이는 세태를 비유하는 말. <출전> ‘잠부론’(潛夫論).(문화, ‘고전명구’)
2. 겨울 북서풍 시작... 중국發 미세먼지 시작 → 15일,수도권 초미세먼지(PM2.5) 올 가을 들어 처음 ‘나쁨’... 중국은 석탄발전 세계 1위로 2위인 인도보다 4.4배.(문화)
3. 김연자의 히트곡 ‘아모르 파티’ → 라틴어로 ‘운명’(fati)을 ‘사랑하라’(amor)라는 의미. 김연자 자신의 인생을 담은 이 노래의 가제목은 당초 ‘연자송’이었다고... 최근 대학가 축제 초청도 많아.(중앙)
4. 메르스 38일 만에 종료 → 오늘(16일) 0시 기점 상황 해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마지막 환자 후 최대 잠복기(14일)의 두배인 28일이 지날 때까지 추가 환자 없으면 종료(세계)
5. 미스터리... 늘어나는 농부, 어부 → 새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6월부터 매달 증가. 이번 9월 통계도 5만 9000여명 늘어. 농림어업분야 빼면 사실 취업자는 마이너스.(헤럴드경제)
*고도로 산업화된 한국에서 농어민 증가는 미스터리... 통계 정밀 분석 필요
6. 주윤발, ‘전재산 8100억원 사회에 환원 할 것’ → 요즘 한달에 12만원으로 생활. 17년간 노키아 구형 핸드폰 사용하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바꿔. 옷도 할인매장에서 구매...(중앙 외)
*개인 차량 없이 버스타고 다닌다는 기사도 있으나 최근 운전한 인터뷰 있는 걸로 보아 검소한 생활 강조하기 위한 과장 기사도 있는 듯...
7. 無노조기업이 노조있는 기업보다 기술혁신 뛰어나 → ‘연구개발비’(R&D) 투자는 3배, 특허 출원 건수는 2배 많아... 경희대 사회과학연구원, 종업원 10人이상 1855개社 조사.(문화)
8. 하이패스, 통행료 과다징수 올해만 2만여건 → 최근 급증. 환불된 건 39%에 불과. 민자도로 경유지점이2016년 6개에서 현재 16개로 늘면서 단말기 통신 이상이 증가했다고...(동아)
9. 도전정신 폄하... 히말라야 등반사고 악플 난무 → ‘자기들이 좋아서 한 일’, ‘위험한 짓 왜 하나’... 청와대 게시판엔 장례에 국민세금 쓰지마라 청원도... 애초 세금 투입 계획 없다고.(동아)
10. ‘트럼프 재선 성공’ 예상 40→46%로 높아져 → 美 CNN 3월 여론조사 때보다 높아져. 민주당 후보로는 바이든-샌더스 전망.(서울 외)
이상입니다
▼주윤발, ‘전재산(8100억) 99% 사회 환원하겠다’.
평소의 검소한 생활도 화제... 영화 ‘영웅본색’의 한 장면
2. 겨울 북서풍 시작... 중국發 미세먼지 시작 → 15일,수도권 초미세먼지(PM2.5) 올 가을 들어 처음 ‘나쁨’... 중국은 석탄발전 세계 1위로 2위인 인도보다 4.4배.(문화)
3. 김연자의 히트곡 ‘아모르 파티’ → 라틴어로 ‘운명’(fati)을 ‘사랑하라’(amor)라는 의미. 김연자 자신의 인생을 담은 이 노래의 가제목은 당초 ‘연자송’이었다고... 최근 대학가 축제 초청도 많아.(중앙)
4. 메르스 38일 만에 종료 → 오늘(16일) 0시 기점 상황 해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마지막 환자 후 최대 잠복기(14일)의 두배인 28일이 지날 때까지 추가 환자 없으면 종료(세계)
5. 미스터리... 늘어나는 농부, 어부 → 새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6월부터 매달 증가. 이번 9월 통계도 5만 9000여명 늘어. 농림어업분야 빼면 사실 취업자는 마이너스.(헤럴드경제)
*고도로 산업화된 한국에서 농어민 증가는 미스터리... 통계 정밀 분석 필요
6. 주윤발, ‘전재산 8100억원 사회에 환원 할 것’ → 요즘 한달에 12만원으로 생활. 17년간 노키아 구형 핸드폰 사용하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바꿔. 옷도 할인매장에서 구매...(중앙 외)
*개인 차량 없이 버스타고 다닌다는 기사도 있으나 최근 운전한 인터뷰 있는 걸로 보아 검소한 생활 강조하기 위한 과장 기사도 있는 듯...
7. 無노조기업이 노조있는 기업보다 기술혁신 뛰어나 → ‘연구개발비’(R&D) 투자는 3배, 특허 출원 건수는 2배 많아... 경희대 사회과학연구원, 종업원 10人이상 1855개社 조사.(문화)
8. 하이패스, 통행료 과다징수 올해만 2만여건 → 최근 급증. 환불된 건 39%에 불과. 민자도로 경유지점이2016년 6개에서 현재 16개로 늘면서 단말기 통신 이상이 증가했다고...(동아)
9. 도전정신 폄하... 히말라야 등반사고 악플 난무 → ‘자기들이 좋아서 한 일’, ‘위험한 짓 왜 하나’... 청와대 게시판엔 장례에 국민세금 쓰지마라 청원도... 애초 세금 투입 계획 없다고.(동아)
10. ‘트럼프 재선 성공’ 예상 40→46%로 높아져 → 美 CNN 3월 여론조사 때보다 높아져. 민주당 후보로는 바이든-샌더스 전망.(서울 외)
이상입니다
▼주윤발, ‘전재산(8100억) 99% 사회 환원하겠다’.
평소의 검소한 생활도 화제... 영화 ‘영웅본색’의 한 장면
반응형
LIST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0월 1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8.10.16 |
---|---|
2018년 10월 16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18.10.16 |
2018년 10월 1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8.10.15 |
2018년 10월 15일 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18.10.15 |
제 1186호 신문브리핑(2018년 10월 15일) (0) | 201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