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트럼프 만찬에 나온 ‘독도 새우’ → 독도 주변에서 잡히는 꽃새우, 닭새우 등을 일컫는 말로 종(種)이 아닌 산지(産地)를 강조한 표현. 일본이 항의까지 했지만 막상 트럼프가 한·일 양국에서 먹은 새우는 똑같은 ‘닭새우’.(중앙)▼

 ​
2. 전 세계 미쉐린 ‘별 세개’ 식당 → 100곳 정도. 한식당 ‘가온’, ‘라연’ 지난해 이어 ‘미쉐린’ 별 3개 만점. 별 두 개 식당은 총 28개국 400여개 있다고.(문화)

 ​
3. 중요한 날을 앞두면 꼭 거짓말처럼 맑아지는 베이징 공기... → 대대적인 단속 때문? 당대회 땐 초미세먼지 30μg... 트럼프 방중 하루 앞둔 7일 오후에도 미세먼지 싹 가셔.(동아)

 ​
​4. 날아가던 비행기서 부품이 떨어지는 사고 → 일본에서만 연 100건 넘어. 지난 9월엔 달리던 자동차에 떨어진 사고도 있었다고.(문화)

 ​
​5. ‘가위눌림’ →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수면마비’. 수면장애중 하나로 수면 전후 환각에 의한 불안 체험으로 몸의 힘이 쑥 빠지는 현상. 보통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다.(헤럴드경제)

 ​
​6. 사법시험 폐지 → 마지막 59회 최종 합격자 55명 발표. 1963년 시작, 역대 총 합격자 2만766명. 최소 선발은 1965년 16명, 최다는 2007년 1011명. 최고령 기록 56세.(서울 외)

 ​
7. 같은 입지에서 아파트를 고른다면 선택 기준? → ‘브랜드’가 51%로 1위. 단지규모(13.4%), 가격(12.9%), 시공능력(8.8%), 부대시설... 순. 닥터아파트, 1940명 대상 조사.(헤럴드경제)

 ​
​8. 한국 국가신용도 → OECD 35개국 중 14위. 10년 전 28위에서 가장 큰 폭 상승.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 모두 일본보다 2단계 높은 등급 부여.(아시아경제)

 ​
​9. ‘코리아 패싱’ → ‘저팬 패싱’서 유래. 외신들도 인용해 쓰고는 있지만 문법적으로는 틀린 말. ‘패스 오버(pass over)’로 써야한다고. 트럼프는 방한때 스키핑(skipping)으로 표현.(동아)

*한국을 대북 문제 등에서 그냥 무시하고 넘어간다는 의미. 즉 ‘한국 무시’

 ​
10.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의 맹점 → 총 검색량이 아니라 증가 비율이 높은 검색어 20개를 30초마다 새로 집계해 보여주기 때문에 평소 검색이 없던 검색어들이 유리...(문화)

 

​이상입니다.

 



▼청와대가 한·미 정상 만찬 때 내놓은 독도 새우,

  ​생물학적 종 이름으로는 ‘닭새우’

반응형
LIST
Posted by 늙은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