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2년 3월 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8일 밤 9시 확진자 32만... 역대 최다 → 누적 확진자도 500만명 넘어. PCR검사량 한계치 넘어서. 병의원 신속항원검사서 양성을 최종 양성으로 인정하는 방안 검토.(중앙)


2. ‘러, 우크라 침공’에 불붙은 ‘글로벌 군비 경쟁’ → 그동안 국방예산 감축 기조를 유지했던 독일이 올해 군비증강에 1000억 유로(약 135조원) 책정, 프랑스·덴마크 역시 국방비 증액 공언. 중국도 7.1% 급증한 279조원, 아베 전 일본 총리는 ‘핵 공유’ 필요성 제기.(문화)


3. ‘품위있게 죽기’ → ‘노인이 병원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 중환자실로 옮겨 가는 비율이 싱가포르는 10%, 한국은 70%’... ‘무조건 살려놓고 보는 병원의 과잉의료 관행과 죽음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바뀌지 않으면 연명의료 거부하기 어렵다’. 5선 의원 지낸 원혜영 ‘웰다잉문화운동’ 공동대표.(문화)


4. 서울아산병원, 세계 병원 평가서 30위 → 뉴스위크 세계 2200개 평원 평가, 100위권에 삼성서울병원(43위), 서울대병원(55위), 세브란스병원(70위), 서울성모병원(87위), 분당서울대병원(89위) 등 6개.(문화)


5. 너무 많은 인증, 기업 경쟁력 떨어뜨린다 → 전등 품목하나에 KS 등 12개 인증 필요... 취득해야 할 인증이 하도 많아 인증기관이 돈벌이가 되니 유명 펀드에서 인증기관에 투자할 정도. 전자파 인증기관만 해도 한국은 42개지만 미국은 몇 곳 되지 않는다. 한국전등기구LED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인터뷰.(아시아경제)


6. 현실이 된 우주 쓰레기 위성 충돌 → 충돌하면 수천억 위성 박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 따르면 국가 소유 위성 8기는 매년 2~3회씩 인공위성ㆍ우주쓰레기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연료를 소모하는 회피 기동을 실시하고 있다고. (아시아경제)


7. 한국 노인빈곤율 처음으로 40%대 이하로 하락 → OECD 평균(13.5%) 보다는 여전히 높아. 비교적 높은 미국, 호주 일본도 20%대. 노인빈곤율이 조금씩이나마 개선된 데는 2014년 도입한 기초연금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 (헤럴드경제)


8. 3말4초 매일 사망자 400명 나올 수도 → '잔인한 4월' 우려. 7일 위중증 1007명, 처음으로 1000명 넘어서. 위중증 환자 2000명 넘으면 의료진 부족에 병상도 '간당', 의료붕괴 재연 가능성 커져.(한경)


9. ‘식량 전쟁’ 막 오르나 → 밀 선물가격 이미 77% 상승. 헝가리, 온두라스 등 주요 곡물 생산국 수출 중단 조치. 밀, 옥수수 자급률 0.5%, 0.7%... 세계 7위 곡물 수입국인 한국 밀·콩·옥수수 등 수급 부족 우려. (경향)▼



10. 유튜버들, 관심 끌려고 일탈하는 이유? → 송영길 테러한 유튜버 구독자 101명에서 1900명으로 19배 늘어. 조회수도 100회 수준에서 가장 최근 영상은 30만회 넘어. 광고 단가는 7000원에서 26만 원으로 올라. 유튜브 분석 사이트 녹스인플루언서.(서울)


이상입니다

반응형
LIST
Posted by 늙은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