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2년 10월 1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불황 때 복권 더 잘 팔린다는 속설 입증? →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복권 구매액 16.6% 증가, 2분기엔 2.2% 늘어. 코로나 시작된 2020년 2분기부터 9개 분기 연속 증가세. 정부, 올해 복권 발행액 6조 6515억원에서 6조 7126억원으로 늘리기로.(한경)


2. ‘쌀 시장격리’ → 양곡관리법 16조에 따라 쌀값의 안정을 위해 수요량보다 3% 이상 초과 생산되거나 단경기(7~9월), 수확기(10~12월) 가격이 평년대비 5% 이상 떨어질 경우 정부가 매입하는 것. 그러나 이 규정은 의무규정은 아니다. 최근 이를 의무화 하는 것을 두고 여야 대립.(아시아경제)


3. 쌀 수요공급 불일치, 쌀농사가 편해서? → 쌀농사는 다른 작물에 비해 자동화 비율이 높고 노동력이 덜 드는 영농 편의성 때문에 다른 작물로 전환하려는 농가는 적은 반면 국민의 식습관 변화로 쌀 소비는 급감한 것이 맞물린 결과다.(아시아경제)


4. '인민 영수' → 20일 중국 공산당대회에서 3기 집권이 확실시 되는 시진핑에 새로이 부여될 것으로 보이는 명칭. 중국에서 '영수'라는 호칭은 '위대한 영수'로 불리는 마오쩌둥 이후 처음.(헤럴드경제)


5. ‘오리는 걷고 헤엄치고 날 수 있는 동물이지만, 그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인성교육을 핑계로 학력평가를 거부하면 결국 무엇 하나 변변하게 잘하는 게 없는 ‘오리’를 양산할 뿐이다‘(문화, 초중고 학력평가 전면 확대를 주장하는 김정래 부산교대 교수 칼럼 중)


6. ‘은행가들은 모이면 예술 이야기를 하고, 예술가들은 돈 이야기를 한다’ → 19세기 작가 오스카 와일드가 한 말이라고. 예나 지금이나 예술가들에게는 돈이 필요하고, 돈 있는 사람은 향유의 대상, 투자의 대상으로 예술을 찾는다는 풍자.(매경)


7. 유전자 분석 기술의 진전 → 인간게놈프로젝트 초기에는 연구원 2800명이 꼬박 10년 동안 4명의 유전체를 분석하는 데 그쳤지만 지금은 5명이 수십 개 기계를 돌리면서 3분에 한 명의 데이터를 뽑고 있다. 한 사람의 모든 유전자를 분석하는데 드는 비용도 2001년 9500만달러에서 지금은 단돈 560달러로 20년 동안 94%가 낮아졌다.(한경)


8. 가계대출 18년만에 감소 → 금리 인상 여파.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총잔액 1조 2000억원 감소, 반면 이중 주택담보대은 여전히 증가. 그러나 증가액은 9000억원으로 그 폭은 2007년 9월(5000억원) 이후 두 번째로 작아.(국민)▼



9. 25%의 사람은 맛을 느끼는 데 약한 미맹(味盲)? → 미각의 능력을 측정하는 기법으로 ‘페닐티오카바미드’(PTC)란 화합물을 이용 하는 ‘PTC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데 데 이 물질이 혀에 닿으면 쓴맛이 나지만 약 25%의 사람들은 그 쓴맛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경향)


10. ‘제비’가 안 보인다 했더니... → 국내 제비 개체수 18년새 100분의 1로 줄어. 서울대 산림과학부 최창용 교수, ‘1987년 10ha당 2289마리씩 발견되던 제비가 2005년 들어 같은 단위 면적에 22마리밖에 보이지 않게 돼’.(동아)

이상입니다

반응형
LIST
Posted by 늙은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