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19년 7월 2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가구당 평균 순재산 ‘4억 1000 만원’ → 76%가 부동산... 물가수준을 감안한 환율(PPP) 기준으로 미국의 67%, 일본의 92% 수준. 통계청, 한은 발표 자료.(헤럴드경제)


2. ‘버즈 올드린’ → 아폴로 11호 우주인. 암스트롱에 이어 두 번째로 달에 내린 사람. ‘아무도 기억해 주지 않는 2등’의 표상처럼 인용되어 왔다. 그러나 NASA 홍보대사, 연구자로서 큰 업적.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의 ‘버즈’도 바로 그가 모델.(국민)▼


3. ‘홍콩’ → 세계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불평등한 곳... 시위 원인도 결국 경제 불평등. 홍콩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4.82달러. 2평 쪽방에 월급의 대부분을 쏟아 붓고 있다. 뉴욕타임즈.(헤럴드경제)


4. 러 군용기, 우리 영공 침범 → 23일 오전 독도 상공. 軍 대응 출격 360발 경고사격. 타국 군용기 영공 침범은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처음. 中은 ‘방공식별구역’ (KADIZ) 침범. 계산된 영공 침범... 한·미·일 균열 겨냥 시각도.(국민 외)


5. ‘방공식별구역’(ADIZ) →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국제법상 영공은 아니지만 타국 항공기의 접근을 조기 식별하기 위한 경계선. 자국의 영문 이니셜을 붙인다. 우리는 KADIZ, 중국은 CADIZ, 일본은 JADIZ.(동아 외)


6 한국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 → 2018년 기준 18.2%에 불과... 2013년(25.8%) 보다 더 줄어. 소재 국산화율은 50.3%... 절반 겨우 넘는 수준.(문화)


7. ‘화학적 거세’ → 성범죄자 등에 성충동 억제를 위해 성호르몬 억제제를 투약하는 것. 연간 비용 500만원, 건보 적용 안돼. 자진해서 연장 치료받겠다는 2명에 법적 근거없어 불허.(동아)


8. 1회용 컵 규제... 이중 낭비? → 매장에선 머그, 유리컵 사용하지만 대다수 나갈 때 일회용컵 옮겨 담아 '이중 사용'... 규제대상 아닌 종이컵 사용은 오히려 늘었다고. (아시아경제)


9. 저작권에 대한 오해 2 → ①저작권 소유자(출처)를 밝히면 쓸 수 있다?(X) ②'비영리‘를 명시하면 어떤 콘텐츠도 쓸 수 있다?(X)... 유튜버들 영상 내리는 사태 속출.(아시아경제)


10. ‘지역 화폐 포퓰리즘’ → 지난해 66곳에서 올해 177곳 지자체 발행. 일부 지역 10% 캐시백 혜택... 귀금속 구입 등에 사용. 과도한 혜택으로 일부 지자체 혜택 축소하는 사례도. (매경)


이상입니다.

반응형
LIST
Posted by 늙은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