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03/24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
1. 윤석열 당선인의 국정수행 전망이 역대 대통령 당선인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면서 당선인의 입지가 흔들리는 모습입니다. 집무실 용산 이전 등 주요 추진 정책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 것이 패착으로 꼽힙니다.
이명박도 박근혜도 욕먹으며 취임하지는 않았는데 참 별나기는 하다~
2. ‘안보 공백’을 이유로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제동을 건 청와대를 향해 “역겹다”고 말해 논란이 된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발언이 과했다면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솔직한 표현이었다”고 했습니다.
이 인간들이 하는 짓 보면 정말 토 나와… 솔직한 표현에 진심 유감이야~
3. 우희종 서울대학교 수의대 교수가 윤석열 당선인의 집무실 용산 이전 공약과 관련해 맹폭을 가했습니다. 우 교수는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고? 이 정도 약골이 무슨 대통령? 생각보다 꽤 약골"이라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습니다.
그래서 아마 손바닥에 ‘王’자도 쓰고 그러지 않았겠어요? 덩치 큰 약골~
4. 역대 합동참모본부 의장들이 “윤석열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이 이상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고 동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일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성명을 낸 당사자들로 입장이 180도 바뀐 것입니다.
전시작전권도 없이 개폼만 잡던 부끄러움도 모르는 똥별 나부랭이들의 충성 서약~
5. 김재원 최고위원이 현역 의원 등 지방선거 공천 페널티 규정에 대해 이준석 대표가 더 높은 감점 규정을 초안으로 제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이 대표는 “두 가지 모두를 반대했다”며 자신에게 뒤집어씌우고 있다고 맞섰습니다.
이 집안은 하도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해서… 사실 뭐가 진실인지도 안 궁금~
6.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창업자이자 최대 주주인 안랩의 주식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상한가로 마감했습니다. 최근 안랩은 안 위원장이 차기 국무총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안철수는 선거 자금 굳히고, 주식은 따불로 오르고 완전 개 이득~
7. 권성동 의원은 윤석열 당선인과 문재인 대통령의 회동에 대해 "청와대도 MB사면 요청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안철수 총리설에 대해서는 "요직을 연속 맡는 건 욕심”이라고 했습니다.
윤핵관이 안철수가 총리는 아니랍니다~ 안랩 주식 정리하세요~
8. 윤석열 당선인 측이 청와대와 한은 총재 후보자 지명 과정에서 협의한 바 없음을 이유로 강력 반발했습니다. 청와대 측은 “진실 공방을 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자꾸 그렇게 거짓말하면 다 공개할 수 있다"며 맞받아쳤습니다.
인사권이 현 정부에 있으니 협조를 구하는 건데… 그게 협조니? 강요지~
9. 윤석열 당선인의 '용산 시대' 구상과 관련해 2030 청년들 사이에서는 '착찹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윤 당선인을 뽑은 청년들조차 윤 당선인이 당선 후엔 청년 정책을 신경 쓰지 않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어차피 ‘이대남’은 ‘여가부패지’ 하나 보고 찍었을 텐데 딴 거는 기대를 말아야지?
10. 확진자가 정점 구간에 들어섰지만, 방역 당국은 정점기가 예상보다 길게 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이인 스텔스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정점 규모와 기간을 크고 길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확진자가 1천만 명을 넘어 다섯 명 중에 한 명 꼴인데 난 안 걸림~
11. 뇌에 이상이 생기면 움직임이 둔해지거나, 균형을 잡기 힘들어지는 등의 신체 변화로 이어집니다. 10초간 손가락 두드리기 30회 이상, 한 발로 서서 20초 이상 버티기 등 간단한 동작으로 뇌에 큰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게 좋다.
지금, 손가락으로 책상 두드리거나 한 발로 서있는 사람 있다에 500원~
박주민 "죽이 되든 밥이 되든 협조? 그러다 죽 되면?.
국민의힘 “5월 10일 청와대 개방" 부정 여론에 속내 복잡.
새 정부 출범 앞두고 통의동 인수위 앞 연일 집회와 시위.
진중권 "윤석열, 문 대통령에 시비 거는 태도, 예우 갖춰라".
장제원 "한은 총재 인사, 협의·추천 없었다. 동의 못 해”.
대통령 취임식, 돌고 돌아 국회로 “김건희 참석은 당연".
정의의 칼에는 칼집이 없다.
- 앙트완 드 리베랄 -
칼집이 없다는 것은 정의를 위해서는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일 것입니다.
공정과 상식 또 정의라 하는 것들이 과연 누구를 위한 공정과 상식 그리고 정의인지 깊이 생각해 봅니다.
선거의 승리가 곧 정의로움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닌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정의를 위한 것이 무엇인지 정해졌다면 주저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정의로운 세상을 위해 건강합시다.
고맙습니다.
류효상 올림.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25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22.03.25 |
---|---|
2022년 3월 25일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22.03.25 |
2022년 3월 2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22.03.24 |
22/03/23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22.03.23 |
2022년 3월 23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