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19년 7월 12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정부, 일본 측에 새 제안說 → 현재의 대법원 징용재판 승소자에는 韓, 日 관련 기업이 반반씩 배상하되 앞으로 나올 피해자는 한국 정부가 전액 보상하는 방안. 한일 청구권 협정(1965년)을 의식, 한국이 더 부담하는 방안이라고.(문화)
2. 하늘과 땅차이 ‘고라니’ 운명 → 우리나라에서는 ‘유해 야생조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세계적(세계자연 보전연맹)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음. 중국은 종 복원 사업도.(경향)▼
3. ‘초코파이’ → 지난해 해외시장에서 23억개, 4150억원 매출. 중국(1890억원), 베트남 (920억원) 매출은 국내(830억원) 판매보다 많아. 베트남에선 제사상에 오르기도 한다고.(세계)
4. ‘택시합승 알선 앱’ 시범 허용 → 요금, 승객 반씩 부담. 승객간 거리, 돌아가는 시간 등 계산해 적정 승객 연결, 서울 강남, 홍대, 택시 잡기 어려운 시간대 한정해 허용.(매경 외)
5. 1년에 ‘673억원’ 번 방탄소년단 → 세계 수입 많은 셀럽(가수, 배우, 스포츠 선수등) 100명 중 43위... 아시아에선 성룡(39위) 다음 2위. 1위는 美가수 테일러 스위프트 2185억. 포브스 발표.(문화)
6. 양파의 ‘황’, ‘퀘르세틴’ 성분 → 전자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낮추고 후자는 항산화 작용으로 혈관의 손상을 막고, 나쁜 콜레스테롤(LDL) 농도를 감소 시킨다.(헤럴드경제)
7. 주한 ‘유엔사’에 ‘일본’, ‘독일’도 파병? → 현재는 6.25 참전국만 가능. 주한 미군사령부 발간 '주한미군 2019 전략 다이제스트'에 가능성 언급. 對중국 견제 의도로 보이지만 우리 정부, ‘말도 안되는 이야기’ 수용 불가...(아시아경제 외)
8. ‘내년부터 고교 전학년 무상교육 하자’ → 올 하반기부터 고3학 대상 무상교육을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한국당의 이 같은 역제안에 민주당 ‘예산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문화)
9. 그동안의 한국의 일본상품 불매운동은 모두 실패? → 실효성도 없고 반한 감정만 유발. 日 마이니치 기자 지적. 이 기자는 지난 1일자 기사에서는 일본의 무역보복은 ‘바보 짓’이라고 日 정부 비판.(중앙)
*1995년 불매운동 있던 해 일본 담배 ‘마일드세븐’은 오히려 매출 늘었다고
10. 양파, 마늘 과잉 생산이 쌀 때문? → 쌀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논에 다른 작물 재배하면 ha당 340만원 지원... 과잉생산량의 20% 정도가 이렇게 생산됐다고. 농림부는 전체 재배면적 감소했지만 기후가 좋아 풍작 든 것 해명.(경향)
이상입니다.
1. 정부, 일본 측에 새 제안說 → 현재의 대법원 징용재판 승소자에는 韓, 日 관련 기업이 반반씩 배상하되 앞으로 나올 피해자는 한국 정부가 전액 보상하는 방안. 한일 청구권 협정(1965년)을 의식, 한국이 더 부담하는 방안이라고.(문화)
2. 하늘과 땅차이 ‘고라니’ 운명 → 우리나라에서는 ‘유해 야생조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세계적(세계자연 보전연맹)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음. 중국은 종 복원 사업도.(경향)▼
3. ‘초코파이’ → 지난해 해외시장에서 23억개, 4150억원 매출. 중국(1890억원), 베트남 (920억원) 매출은 국내(830억원) 판매보다 많아. 베트남에선 제사상에 오르기도 한다고.(세계)
4. ‘택시합승 알선 앱’ 시범 허용 → 요금, 승객 반씩 부담. 승객간 거리, 돌아가는 시간 등 계산해 적정 승객 연결, 서울 강남, 홍대, 택시 잡기 어려운 시간대 한정해 허용.(매경 외)
5. 1년에 ‘673억원’ 번 방탄소년단 → 세계 수입 많은 셀럽(가수, 배우, 스포츠 선수등) 100명 중 43위... 아시아에선 성룡(39위) 다음 2위. 1위는 美가수 테일러 스위프트 2185억. 포브스 발표.(문화)
6. 양파의 ‘황’, ‘퀘르세틴’ 성분 → 전자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낮추고 후자는 항산화 작용으로 혈관의 손상을 막고, 나쁜 콜레스테롤(LDL) 농도를 감소 시킨다.(헤럴드경제)
7. 주한 ‘유엔사’에 ‘일본’, ‘독일’도 파병? → 현재는 6.25 참전국만 가능. 주한 미군사령부 발간 '주한미군 2019 전략 다이제스트'에 가능성 언급. 對중국 견제 의도로 보이지만 우리 정부, ‘말도 안되는 이야기’ 수용 불가...(아시아경제 외)
8. ‘내년부터 고교 전학년 무상교육 하자’ → 올 하반기부터 고3학 대상 무상교육을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한국당의 이 같은 역제안에 민주당 ‘예산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문화)
9. 그동안의 한국의 일본상품 불매운동은 모두 실패? → 실효성도 없고 반한 감정만 유발. 日 마이니치 기자 지적. 이 기자는 지난 1일자 기사에서는 일본의 무역보복은 ‘바보 짓’이라고 日 정부 비판.(중앙)
*1995년 불매운동 있던 해 일본 담배 ‘마일드세븐’은 오히려 매출 늘었다고
10. 양파, 마늘 과잉 생산이 쌀 때문? → 쌀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논에 다른 작물 재배하면 ha당 340만원 지원... 과잉생산량의 20% 정도가 이렇게 생산됐다고. 농림부는 전체 재배면적 감소했지만 기후가 좋아 풍작 든 것 해명.(경향)
이상입니다.
반응형
LIST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7월 1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19.07.15 |
---|---|
2019년 7월 12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9.07.12 |
제 1353호 신문브리핑(2019년 7월 11일) (0) | 2019.07.11 |
2019년 7월 1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9.07.11 |
2019년 7월 1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0) | 2019.07.11 |